티스토리 뷰
목차
교통비가 꾸준하게 오르는 상황에 지출이 많아져 부담되시는 상황입니다. 대안으로 기후 동행 카드가 있지만 정해진 지역 제외하고는 사용이 불가능하기에 아쉬워하실 거 같아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교통비 환급받을 수 있는 사업을 소개합니다. K패스 들어 보셨나요? 정부에서 5월부터 시행하는 교통비를 환급해 주는 정보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목차
K패스 지급 방식 및 혜택
K-패스 교통비 53% 환급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 기존 알뜰교통카드 보다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고, 단점을 보완한 것이 K-패스 입니다
지급요건은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최대 60회까지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줍니다. 이용 가능한 수단은 기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등 교통카드 기반으로 운영되는 대중교통수단이 해당됩니다. 지급 방식은 다음 달에 이용자에게 현금, 마일리지, 카드 공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직접 환급됩니다.
- 지금 요건: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 이용하는 분
- 이동 수단: 교통카드 기반으로 운영되는 교통 수단( 지하철, 광역버스, 기내버스 등)
- 지급 방식: 마일리지, 현금, 카드 공제 등 직접 환급
K패스 카드 혜택
기존 거리에 따라 환급하는 알뜰교통카드 대신 이용한 횟수로 금액이 환산됩니다. 환산되는 기준은 일반인, 청년, 저소득 층으로 나누어집니다. 청년은 만19~34세이며, 이를 제외하고는 일반인으로 해당됩니다. 저소득 기준은 기초생활수급 보장법에 따른 차상위계층이 해당 됩니다.
K-패스 | 적립률 | 3,000원 |
일반 | 20% | 600원 |
청년 | 30% | 900원 |
저소득(기초샹활수급 보장법에 따른 차상위계층) | 53% | 1,590원 |
환급기준 | 15회 이상 이용 시 적용 최대 60회까지 |
매월 대중교통비를 대략 20회 사용했다는 예시로 평균 7만 원 지출 시 일반인은 20% 적립액 1만 4000원 청년은 30% 적립액 2만 1000원 청년 기준은 만 19~ 34세가 해당됩니다. 저소득 53% 적립액 3만 7000원입니다 알뜰교통 카드는 거리에 따라 환급했다면 K-패스는 거리 상관없이 지출 금액을 일정액 환급합니다. 5월부터 K-패스 홈페이지 및 앱에서 신청가능합니다. 시군구 229곳 중에서 인구수 10만 명 이하인 40곳 제외하고 시행됩니다.
K패스 발급 방법
알뜰카드 사용자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도 전환 신청하면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5월에 K패스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전환하기를 누르실 경우 전화됩니다. 5월까지 기다리기 힘드신 분들은 알뜰교콩 카드를 사용하시며 혜택을 받다가 전환하시면 교통비 부담이 줄어드실 수 있습니다. 알뜰카드의 경우는 거리로 환산되기 때문에 거리 측정 잘 되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신규 사용자
5월 부터 K패스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신청가능합니다.
지원 카드사
11곳에서 지원합니다. 하나, 신한, 삼성, 현대,BC,국민,농협,티머니, 이동의즐거움, DGB 유페이
같이 보면 좋은 글
기후동행카드 신청
24년에 정부에서 새로운 정책들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모두가 기대하는 기후동행카드에 대한 시선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친환경 교통혁신과 교통비 부담을 줄여주는 목적으로 출시
bluewoon.com
애플페이 교통카드
애플페이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페이를 사용하다 보면 달러 결제 방식과 수수료 그리고 교통카드에 불편함이 많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애플에서 원화를 등록했다는 이야기가 많습니
bluewo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