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신발을 착용합니다. 특수한 상황이 아닌 경우 자주 착용하는 신발이 있습니다. 편리함, 패션 그리고 상황에 따른 알맞은 신발 등 그중에 업무나 현장에서 일하는 분들은 신발에 따라 통증을 받기도 합니다. 용도에 따른 신발의 특성을 이해하면 고르기 더욱 편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운동화 고르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발 고르는 방법 4가지
발 건강을 위하여 신발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신발 고르는 방법입니다. 4가지를 기준을 합니다. 구부림, 비틀림, 안정적인 뒤축입니다. 신발을 신을 경우 발에 잘 맞는 사이즈를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구부림입니다. 기준은 발의 앞 볼의 1/3지점이 잘 구부러져야 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앞볼을 잡고 구부렸다 펴줍니다. 착용하신 뒤 까치발을 하셔도 좋습니다.
2. 비틀림입니다. 우리는 보행을 하면서 뒤꿈치에서 닿고 중간 부분(미드 풋)을 지나 엄지발가락으로 약간의 비틀리는 움직임이 일어나게 됩니다. 마치 웨이브 같은 느낌입니다. 그렇기에 테스트 시 신발을 비틀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쪽 끝부분을 잡고 손으로 비틀었을 때 저항 없이 비틀어지면 발에 좋은 신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잘 비틀어지지 않는 경우 발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대신 발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습니다.
3. 뒤축입니다. 발을 뻗을 때 뒤축이 잡아주지 못하면 운동화는 분리될 수 있습니다. 그러기에 뒤축은 단단하고 잘 잡아주는 신발을 추천합니다. 단 피부에 영향을 주는 신발은 발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뒤축 테스트입니다. 엄지손가락으로 신발 뒷면을 눌러줍니다. 쉽게 들어가거나 눌린 뒤 복원되는 속도가 느린 경우는 좋지 못할 수 있습니다.
4. 쿠션입니다. 신발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발에 부담을 적게 주는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쿠션은 너무 얇거나, 단단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렇기에 1cm~3cm를 추천합니다. 적을 경우 충격 흡수가 어렵고 과한 경우에는 보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신발 종류 특징
1. 운동화입니다. 운동화는 활동이 많을 때 착용합니다. 그렇기에 지면으로 닿을 때 오는 충격 흡수와 발의 편한 것이 중요합니다. 구부림과 비틀림에 저항이 없는 경우와 뒤축이 딱딱 보다는 손으로 누르면 구부려지고 모양이 복원될수록 좋습니다. 추가로 통풍이 잘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 정장 구두입니다. 업무나 중요한 자리에서 착용합니다. 그렇기에 구부림 테스트 시 잘 구부려지는 것이 업무에 유리합니다. 역동적인 동작보다는 정적인 신발이기에 비틀림 테스트 시 비틀리지 않고 견고한 것을 추천합니다. 구두는 비틀림이 적기에 무릎에 많은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 약간의 쿠션을 추천합니다. 뒤축은 단단하기에 더욱더 안정적입니다.
3. 플랫슈즈와 하이힐입니다. 힐은 높이 상관없이 발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힐의 높이는 제외하였습니다. 공통점으로 쿠션이 얇은 신발입니다. 체중 흡수가 좋지 못합니다. 구부림이나, 비틀림, 뒤축 테스트에서는 약한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발볼이 앞으로 향하면 각이 좁아집니다. 상황에 따라 신어야 하기에 착용하신 뒤에는 발바닥과 종아리 부분을 폼롤러로 풀어주셔서 발 건강을 지키는 것을 추천합니다.
4. 슬리퍼입니다. 구부림, 비틀림은 정말 잘 되는 슬리퍼입니다. 하지만 뒤축이 없기에 발을 안정적으로 잡아주지 못하여 좋지 못한 신발입니다. 보행 시 슬리퍼는 날아갈 수 있기에 발이 앞으로 나가기 전에 땅에 닿게 됩니다. 흔히 슬리퍼 신고 땅을 끌고 걷는 느낌입니다. 뒤축이 없기에 발을 오므리게 됩니다. 이럴 경우 발바닥부터 시작하여 발목과 무릎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실내용으로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일상에서 또는 업무 시에 신발을 착용하시는 분들이 좋은 신발을 고르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잘 고른 신발을 착용하고 일정을 마무리하고 귀가한 뒤 뭉친 다리를 풀어주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하루를 고생한 발을 풀어주면서 회복을 시켜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의 긍정적인 요인 7가지 (0) | 2023.09.15 |
---|---|
근력운동 그것이 알고 싶다 (2) | 2023.09.14 |
휴식을 어려워하는 나에게 (11) | 2023.09.12 |
터키쉬 겟업이란? 정확한 기술과 효과적인 근육 훈련 방법 (2) | 2023.09.11 |
기능성 트레이닝 건강한 엉덩이 근육 되기 (6) | 2023.09.10 |